‘동전 택시기사’, ‘강아지 던진 여성’, ‘강서구 PC방 살인사건’ <br /> <br />이들 사건은 순간적인 분노를 참지 못 한 데서 비롯됐다는 공통점을 갖는다. <br /> <br />대개 ‘분노’는 나쁜 감정, 통제의 대상으로 여겨지지만 사실 분노는 ‘내 안을 들여다보라’는 메시지를 전하는 순기능을 가진 신호감정이다. <br /> <br />권수영 연세대 상담코칭학 교수는 “물이 끓으면 주전자 뚜껑이 들썩거리면서 신호를 보내듯이, 분노 역시 불안과 짜증, 우울, 소외감 등 우리가 살아가면서 느낄 수 있는 감정을 알아채도록 내 안을 들여다보라고 알려주는 감정”이라고 설명했다. <br /> <br />또 “내면을 읽어내는 데서 그치지 않고 함께 나누면서 위로 받을 사람이 있어야 하는데, 그런 사람이 없는 경우 심각한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높다”고 말했다. <br /> <br />그는 최근 우리 사회에서 분노 범죄가 증가하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고 진단했다. <br /> <br />“우리는 혼자 밥 먹는 사람을 가리키는 ‘혼밥족’과 같은 말이 새로 생겨날 정도로 ‘혼자’에 익숙하지 않고, 친밀한 관계에 대한 욕구가 강하기 때문에 혼자 밥을 먹게 되면 (남에게서) 버려지거나 거절당했다는 느낌을 받는다” <br /> <br />서구의 개인주의 문화가 젖어들면서 사회 전반적으로 유대감이 떨어지게 됐고, 본인의 내면을 드러내고 공감해줄 존재를 찾기 어려워졌다는 것이다. <br /> <br />이 같은 현상에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(SNS)의 발달도 한몫 했다. ‘친구 수 늘리기’나 ‘보여주기식 인증’ 문화에 치중해 내면을 거리낌 없이 드러낼 수 있는 ‘친구’를 찾는 일은 물론 자신을 들여다보는 일조차 버거워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. <br /> <br />그 과정에서 오히려 좌절감 등을 겪게 되고, 쌓인 감정들이 결국 주체할 수 없는 분노 표출로, 심각하게는 범죄로 이어지게 된다는 것이다. <br /> <br />권 교수는 “분노 범죄의 참극을 막기 위해서는 분노가 보내는 메시지를 읽을 수 있어야 하고, 이를 터놓을 대상을 찾는 일이 반드시 필요하다”며 “그 대상이 가족이나 친구 등 가까운 지인이면 좋겠지만 내 안을 들여다보는 것조차 어렵다면 상담 전문가를 찾는 것도 한 방법”이라고 조언했다. <br /> <br />그는 “상담 전문가는 정말 드러내기 힘든 아픈 감정을 들어주고 공감해주기 위해 훈련받은 사람들로, 이런 인력들을 잘 활용할 수 있는 제도가 마련되면 좋겠다”고 말했다. <br /> <br />연출 : 서정호 PD(hoseo@ytn.co.kr) <br />제작 : 강재연 PD(jaeyeon91@ytnplus.co.kr) <br />취재 : 강승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90326170201632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